두 수의 곱셈
1. 부호가 같은 두 수의 곱셈
부호가 같은 두 수의 곱셈은 두 수의 절댓값의 곳에 양의 부호를 $+$를 붙인다. 즉 양수가 된다.
예를 들어보자.
$$\left(+3\right)\times\left(+4\right)=+\left(3\times4\right)=+12$$
위의 식을 보면 $+3$과 $+4$모두 양수로 부호가 같다.
따라서 숫자를 서로 곱하고 $+$부호를 붙인 것이다.
그리고 답에서 $+12$는 $+$기호를 생략하여 $12$라고 써도 된다.
일상생활에서 과자$+2$개 먹었다고 말하지 않고 그냥 $2$개 먹었다고 표현한다.
즉 $+$는 일상생활에서 너무나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하다.
부호가 같은 곱셈으로 하나의 예를 더 보자.
$$\left(-3\right)\times\left(-4\right)=+\left(3\times4\right)=+12=12$$
위의 식을 보면 $-3$rhk $-4$는 서로 부호가 같다.
따라서 숫자를 서로 곱하고 $+$부호를 붙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야기 하면 부호가 같은 두 수의 곱셈은 항상 $+$(양수)가 된다는 것이다.
2. 부호가 다른 두 수의 곱셈
부호가 다른 두수의 곱셈은 절댓값의 곱에 음의 부호 $-$를 붙인다.
예를 들어보자.
$$\left(-3\right)\times\left(+9\right)=-\left(3\times9\right)=-27$$
위의 식을 보면 $-3$과 $+9$는 서로 부호가 다르다.
따라서 계산 결과의 부호는 $-$(음수)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두 수 $3$과$9$를 곱한 후 부호$-$를 붙인 것이다.
부호가 다른 두 수의 곱셈의 예를 하나 더 보자
$$\left(+3\right)\times\left(-9\right)=-\left(3\times9\right)=-27$$
위의 식도 마찬가지로 $+3$과 $-9$의 부호가 다르다.
따라서 계산 결과의 부호는 $-$(음수)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두 수 $3$과$9$를 곱한 후 $-$부호를 붙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부호가 다른 두 수의 곱셈은 $-$(음수)가 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두 수의 곱셈을 배웠다.
한글을 잘 읽어보자 두 수의 곱셈이다. 숫자 두 개만을 곱한 것을 배운 것이다.
이후로는 숫자 3개, 4개, 수백 개를 곱할 수도 있다.
단지 이 글에서는 숫자 두 개만을 곱한 것을 배운 것이다.
그러니 위의 빨간색의 글은 두 수의 곱에서만 성립(된다)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중고등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1수학. 세 수 이상의 곱셈 (1) | 2023.06.04 |
---|---|
중1수학.곱셈의 계산법칙 (1) | 2023.06.04 |
중1 수학. 어떤 수보다~만큼 큰수, 작은 수 구하기 (1) | 2023.06.03 |
중1수학. 두 수의 뺄셈 (2) | 2023.06.03 |
중1수학. 덧셈의 계산법칙 (0) | 2023.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