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식의 값, 다항식과 일차식
개념. 대입과 식의 값
1. 대입
대입이란 문자를 사용한 식에서 문자를 수로 바꾸어 넣는 것이다.
예를 들면 $x=2,~y=3$일 때 $2x-y=2\times 2 -3$이렇게 바꾸는 것이 대입이다.
2. 식의 값
식의 값이란 문자를 사용한 식에서 문자에 수를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예를 들면 방금 대입의 예에서 계산까지 하면 식의 값이 나오는 것이다.
즉, $x=2,~y=3$일 때 $2x-y=2\times 2 -3=1$이다.
3. 참고
(1) 문자에 어떤 수를 대입할 때에는 생략된 곱셈 기호인 $\times$를 다시 써주는 것이 좋다.
(2) 문자에 음수를 대입할 때에는 반드시 괄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자.
(3) 분모에 분수를 대입할 떄에는 생략된 나눗셈 기호인 $\div$를 다시 나타낸 후, 곱셈으로 고치는 것이 좋다.
개념. 다항식과 일차식
1. 항: 수 또는 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 식이다.
예를 들어 $2x-y+1$에서 항은 $2x,~-y,~1$이렇게 세 개다.
그리고 항이 $3$개 이므로 위의 식은 다항식이라 부른다.
참고로 항이 $1$개인 경우에도 다항식이지만, 특별히 단항식이라 부른다.
2. 상수항 : 수로만 이루어진 항
예를 들어 $2x-y+1$에서 상수항은 $1$이다.
3. 계수 : 수와 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 항에서 문자에 곱해진 수이다.
예를들어 $2x-y+1$에서 $x$의 계수는 $2$이고, $y$의 계수는 $-1$이다.
4. 다항식 : 한 개 이상의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식이다.
예를들어 $x$, $2a+4b$, $3p+2q+r$등은 다항식이다.
5. 단항식 : 다항식 중에서 한 개의 항으로만 이루어진 다항식을 단항식이라 부른다.
$x$, $2a+4b$, $3p+2q+r$에서 $x$는 단항식이다.
6. 차수 : 항에서 문자가 곱해진 개수
예를 들어 $x^{3}+2x+1$에서 $x^{3}$은 $x$가 세 번 곱해졌기 때문에 $3$차이고, $2x$에서는 $x$가 한번 곱해졌기 때문에 일차이다..
7. 다항식의 차수 : 다항식을 이루는 각 항의 차수 중에서 가장 큰 값
예를 들어 $x^{3}+2x+1$에서 $x^{3}$은 $x$가 세번 곱해졌기 때문에 $3$차이고, $2x$에서는 $x$가 한번 곱해졌기 떄문에 일차이다..그중에 차수가 가장 큰 값은 $3$이므로 $x^{3}+2x+1$은 $3$차식이 된다는 것이다.
8. 일차식 : 차수가 $1$인 다항식
예를들어 문자가 하나씩 곱해식 식이 일차식인데 실제로 써보면 $a+1,~3x-8,~2p+9q$등이 있다.
참고
1. 다항식에서의 항의 계수를 말할 때에는 숫자 앞의 부호까지 말해야 한다.
예를들어 $3x-2y$에서 $y$의 계수는 $-2$인 것이다.
2. $x=1\times x$이므로 $x$의 계수는 $1$이고, $-x=\left(-1\right)\times x $이므로, $x$의 계수는 $-1$이다.
'중고등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2 수학. 일차 부등식의 활용-가격, 개수에 대한 문제 (144) | 2023.08.24 |
---|---|
고등수학. 인수분해와 인수분해 공식 (104) | 2023.08.22 |
중2 수학. 일차부등식의 활용- 예금액, 저축금액에 대한 문제 (19) | 2023.08.18 |
중2 수학. 일차부등식의 활용-가격, 개수에 대한 문제 (25) | 2023.08.15 |
중2 수학. 일차부등식의 활용- 수에 대한 문제 (23)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