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사회. 교육학

"고발 사주" 감찰 기록 정보공개 거부

날아라쥐도리 2024. 2. 22. 08:42
반응형

"고발 사주" 감찰 기록 정보공개 거부


"고발 사주" 의혹에 대한 대검찰청 감찰 기록의 정보공개 청구가 최근 비공개로 결정되면서 이슈가 되었습니다. 감찰 기록 공개 거부 결정의 배경과 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감찰 과정 및 정보공개 청구

- 청구 사유: "고발 사주" 의혹 사건의 제보자인 조성은 씨는 손준성 대구고검 차장검사에 대한 감찰 결과가 무혐의로 결정된 배경에 대한 정보, 감찰위원 명단 및 회의록, 감찰 개시 지시를 포함한 자료들의 공개를 청구했습니다.

- 비공개 결정: 대검찰청은 "공정한 업무 수행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이러한 자료들의 공개를 거부했습니다.

"고발 사주" 의혹 사건의 경과

- 의혹의 내용: 이 사건의 핵심은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의 지휘하에 있던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실 소속 검사들이 2020년 총선을 앞두고 특정 정당에 정치인 및 언론인 등에 대한 고발을 사주했다는 내용입니다.

- 재판연결성: 손준성 검사와 당시 미래통합당 후보이던 김웅 의원(현 국민의힘)의 행위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사건에 대한 수사 및 판결이 양자 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비공개 결정에 대한 유권 해석 및 법적 기준

- 정보공개 법적 기준: 대검찰청은 정보공개에 대한 기준에 따라 해당 감찰 기록들이 업무의 공정한 수행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이를 근거로 정보공개를 거부했습니다.

사후 여파 및 전망

- 재판 진행 상황: 손 준성 검사장에 대한 재판은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 등으로 이미 진행 중이며, 징역형이 선고되었습니다.

- 감찰 기록의 미공개: 대검의 감찰 기록이 공개되지 않음으로 인해 사건에 대한 완전한 이해와 평가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찰 과정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정황을 종합해 보면, "고발 사주" 의혹 사건에 대한 대검찰청의 감찰 기록 정보공개청구는 공정한 업무 수행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비공개가 결정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현재진행 중인 재판과 추후 발생할 사법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문서들의 공개를 막는 것이기에 많은 논란을 낳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