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수 3

중1 수학. 유리수

유리수유리수는 $\frac{\left(\text{정수}\right)}{\left(0\;\text{아닌} \; \text{정수}\right)}$로 나타낼 수 있고, 어떤 수도 $0$으로 나눌 수 없으므로 분모는 $0$이 아니다. 1) 양의 유리수 : 분모, 분자가 자연수인 분수에 양의 부호 $+$를 붙인 수. 더불어 $+$ 기호는 생략할 수 있다. 2) 음의 유리수 : 분모, 분자가 자연숭니 분수에 음의 부호 $-$를 붙인 수 3) 양의 유리수, $0$, 음의 유리수를 통틀어 유리수라 한다.유리수의 분류 $ \text{유리수} \begin{cases} \text{정수} \begin{cases} \text{양의 정수} \left(\text{자연수}\right)\\ 0 \\ \text{음의 정수} \end{c..

중고등 수학 2023.07.10

중1 수학. 정수와 유리수

정수와 유리수 정수란 무엇일까? 정수란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를 통틀어서 정수라 한다. 그렇다면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가 무엇인지를 알 필요성이 있다. 양의 정수는 자연수와 같은 말이다. 즉 양의정수는 $+1,+ 2, +3, +4, \cdots$이다.그리고 양의 정수 앞에 $+$기호는 생략하여 $1, 2, 3, 4, \cdots$로 나타낼 수 있다. 그렇다면 음의 정수는 자연수에 음의 부호 $-$를 붙인 수이다. 즉 음의 정수는 $-1, -2, -3, \cdots$이다. 자 그렇다면 유리수란 무엇일까 쉽게 이야기하자면 유리수란 분수이다.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이다. 일단 분류로 이야기하면 유리수는 양의 유리수, $0$, 음의 유리수이다 양의 유리수는 분수에 양의 부호 $+$를 붙인수이며, 예..

중고등 수학 2023.06.02

중1 수학. 소수와 합성수, 그리고 자연수

1. 소수란 무엇인가 소수란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약수가 1과 자기 자신 뿐인 수이다. 여기서 중요하게 여겨보아야 할 점이 1보다 큰 자연수, 그리고 약수가 1과 자기 자신이라는 점이다. 모든 공부가 그렇듯, 개념을 정리할 때 글을 잘 읽어보아야 한다. 1보다 큰 자연수라 했다. 즉 이 말은 1은 소수가 아니라는 점이다. 두 번째, 약수가 1과 자기 자신이라는 것이다. 즉 소수는 약수가 2개라는 점이다 그리고 소수는 prime number이다. prime이란 뜻은 중요한 주요한 이란 뜻이다. 즉 소수는 엄청나게 중요한 수라는 것이다. 분유나 어떤 물건에 prime라는 글씨가 쓰여있으면 꽤나 비싸고 고급진 물건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마찬가지로 소수는 엄청나게 중요하게 사용될 수라는 것이다, 1) 약수란 ..

중고등 수학 2023.05.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