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덧셈 3

중1 수학. 어떤 수보다~만큼 큰수, 작은 수 구하기

어떤 수보다 ~큰 수, 작은 수 구하기. 어떤 수보다 ~ 큰 수 이런 유형의 문제는, 한글의 이해도가 필요하다. 어떤 수보다 ~만큼 큰 수는 덧셈이다. 그리고 어떤 수보다 ~ 만큼 작은 수는 뺄셈이다. 예를 들어 보겠다. $3$보다 $5$만큼 큰 수는$3+5$이다. $3$보다 $-5$만큼 큰 수는 $3+\left(-5\right)$이다. 어떤 수보다 ~ 작은 수 어떤 수보다 ~작은 수는 뺄셈이다. 숫자를 통해 알아보자. $-2$보다 7만큼 작은 수는 $-2-7$이다. $-2$보다 $-7$만큼 작은 수는 $-2-\left(-7\right)$이다. 간단한 문제. 아래의 문제들을 풀어보자. $-3$보다 $8$만큼 큰 수 해설 : $-3$보다 $8$만큼 큰 수는 덧셈이다. 그렇다면 식을 써보자. $-3+8$이 ..

중고등 수학 2023.06.03

중1수학. 부호가 다른 두 수의 덧셈

부호가 다른 두 수의 덧셈 두 수의 절댓값의 차에 절댓값이 큰 수의 부호를 붙인다. 말이 어렵다. 실제 예를 보고, 쉬운 말로 다시 한번 설명하겠다. 1. 양수 +음수 $$\left(+5\right)+\left(-3\right)=+\left(5-3\right)=+2$$ 이 계산 방법을 보고 한국말로 쉽게 이야기해보면, 부호가 다른 덧셈은 숫자 큰 것에서 숫자 작은 것을 빼고, 숫자 큰 부호를 붙이면 된다. 이 방법은 그저 쉽게 이해를 돕기 위해 쓴 글일 뿐이다. 따라서 위의 식에서 숫자 큰 것은 $5$이고 숫자 작은 것은 $3$이다. $5$에서$3$을 뺀 후에 숫자 큰 부호인 +를 붙이면 $+2$가 되는 것이다. 2. 음수+양수 $$\left(-5\right)+\left(+3\right)=-\left(5..

중고등 수학 2023.06.03

중1수학. 부호가 같은 두 수의 덧셈

부호가 같은 두 수의 덧셈 부호가 같은 두 수의 덧셈은 절댓값의 합에 공통인 부호를 붙인다. 조금 더 쉽게 말로 표현하자면 부호가 같으면 숫자를 더하고 부호를 붙인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좀 더 자세히 글로 설명을 하고 푸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그리고 몇 가지 예제문제를 적어나가도록 하겠다. 1. 양수+양수 $$\big(+2\big)+\big(+3\big)=+\big(2+3\big)=+5$$ 위의 뜻은 그냥 단순하게 $2+3$을 의미한다. 그저 영희가 사과 2개를 갖고 있는데 사과 3개를 선물로 받으면 총 사과 5개가 된다는 뜻이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철수가 2원이 있는데 용돈으로 3원을 받아서 총 5원이 되었다는 뜻이다. 마지막으로 다른 하나의 예시를 들자. 아파트 2층에 있었는데 3층을 더 올라가서 ..

중고등 수학 2023.06.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