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장애의 종류와 그 뜻
수면장애의 종류
과수면증, 불면증, 사건수면증, 수면각성주기 장애등이 있다.
과수면증
과수면증은 일단 수면의 양이 많고 낮 동안에도 지나치게 졸음이 오는 것을 말한다.
수면 기간은 짧게는 수시간에서 길게는 며칠간 지속되며, 잠을 깨우기가 매우 힘들고 깨워도 거의 제정신을 차리기 힘들 정도로 의식이 분명하지 않다.
낮에 졸음이 올 때 심한 경우는 깨어 있다가 갑자기 참기 어려울 정도의 졸음이 몰려올 때도 있는데, 이를 수면발작이라고 한다.
대개의 수면발작은 약 15분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 지속되면 밤낮 구별 없이 나타난다.
또한 잠이 쏟아질 것을 예고하는 어떤 징후도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데, 식사나, 대화중은 물론이고 차를 운전할 때도 수면 발작이 일어난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사람은 자동차 사고를 일으키기가 매우 쉬우며, 이러한 문제로 수면 클리닉을 찾는 경우가 많다. 잠에서 깨어난 후에는 의식이 매우 명료해지며, 발작이 있은 후 몇 시간 이내에는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과수면증은 단지 피곤하거나 몸이 허약해져서 느끼는 졸음과는 다르며, 불면증보다는 드물지만 주위에서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다.
기면증이 그 대표적인 예이고, 약물 사용과 관련해서 과수면증이 일반적인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 외에 수면무호흡증에서도 과수면증이 흔히 관찰되며, 월경에 수반하는 과수면증도 있는데 이 경우는 비월경시에는 수면이 정성으로 돌아온다.
그 밖에도 지나친 식용과 관련된 클레인-레빈(Klein-Levin) 증후군과 비만과 호흡곤란이 있는 피크위키언(Pickwickian)증후군등에서도 과수면증을 보인다.
불면증
불면증인 입면이나 수면유지에 어려움이 있거나 혹은 아침에 너무 일찍 깨는 것 등이 주요 증상이며, 불면증의 지속 기간에 따라서 일시적인 불면증과 만성불면증으로 구분된다.
대개 사별이나 이별과 같은 상실경험, 생활상의 큰 변화, 가족이나 직장에서의 심각한 갈등 등이 있으면 심한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보이며 정상적으로 수면을 이루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불면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처음에 불면증을 촉발시켰던 스트레스 요인이 사라지거나 스트레스에 적응하게 됨으로써 자연히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불면증을 일시적인 불면증이라고 한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처음에 불면증을 촉발시켰던
스트레스가 해결되거나 보통사람 같으면 적응되었을 만큼 오랜 시간이 지났는데도 계속해서 불면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불면증이 장기간 (대게 6개월 이상) 에 걸쳐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불면증이라고 부른다.
사건수면
사건수면은 각성 시에나 볼 수 있는 행동이 수면 중에 일어나는 것으로,이러한 행동은 수면의 3,4 단계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당사자는 거의기억을 못 한다.
흔히 말하는 몽유병이 이에 해당되며, 잠꼬대나 이갈이도 넓게는 여기에 포함된다.
DSM-4 에는 악몽장애, 수면경악장애, 수면보행장애 등으로 나누고 있다.
수면각성주기 장애
이 장애는 수면각성주기가 생활에 바람직한 신체주기와 맞지 않는 것으로, 환자 자신이 자고 싶어 하는 때에 잘 수가 없는 증상을 공통으로 보인다.
즉 낮에 직장에서 일을 할 때와 같이 완전히 깨어 있어야 할 때잠이 오지 않고, 남들이 다 자는 밤에는 잠이 오지 않는 각성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수면각성주기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은 처음에는 불면증이나 졸림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지만, 면담을 통해이들이 수면각성주기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DSM-4의 일교차성 수면장애가 이에 해당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바닥으로 건강을 진단하는 법 (34) | 2023.12.02 |
---|---|
골다골증 예방법 (43) | 2023.12.01 |
50중년의 불청객 오십견 (45) | 2023.11.27 |
월계수의 효능과 여러가지 정보 (29) | 2023.11.23 |
평발의 원인과 치료법 (36) | 202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