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반응형

홀수 2

중1 수학. 일차방정식의 활용-짝수, 홀수

일차방정식의 활용 짝수문제를 살펴보자. 연속하는 세 짝수의 합이 60일 때, 세 짝수를 모두 구하여라.짝수는 2,4,6,8, 처럼 각 짝수의 차이는 2씩 차이가 난다. 따라서 세 짝수 중 가운데 짝수를 x라 두면, 세 짝수는 x2,x,x+2로 둘 수 있다. 자 그럼 문제를 보고 식을 세워보자 세 짝수의 합이 60이라 하였으므로 (x2)+x+(x+2)=60 3x=60 x=20 따라서 가운데 짝수는 20이 된다. 문제에서 세 짝수를 구하라 하였으므로 세 짝수는 18,20,22가 되는 것이다.홀수문제도 마찬가지이다. 방법이 똑같다. 문제를 내보겠다. 연속하는 세 홀수의 합이 111일 ..

중고등 수학 2023.06.24

중1수학. 세 수 이상의 곱셈

세 수 이상의 곱셈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의 개수가 핵심이다. 의 갯수가개수가 홀수개이면 계산결과는 이고, 의 개수가 짝수개이면 계산 결과는 +이다. 잠시 짝수와 홀수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다. 모르는 사람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짝수는 2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이다. 바꿔말하면 2로 나눈 나머지가 0인 수이다. 또 다른 말로 하자면 짝수는 4,2,0,2,4,6,8,10이다. 자 그렇다면 홀수는 무엇일까? 홀수란 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이다. 바꿔말하면 2로 나눈 나머지가 1인 수이다. 또 다른 말로 하자면 홀수는 5,3,1,2,3,5,이다. 자 그럼 아래의 예시를 통해 세 수 이상의 곱셈을..

중고등 수학 2023.06.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