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수의 곱셈 1. 부호가 같은 두 수의 곱셈 부호가 같은 두 수의 곱셈은 두 수의 절댓값의 곳에 양의 부호를 $+$를 붙인다. 즉 양수가 된다. 예를 들어보자. $$\left(+3\right)\times\left(+4\right)=+\left(3\times4\right)=+12$$ 위의 식을 보면 $+3$과 $+4$모두 양수로 부호가 같다. 따라서 숫자를 서로 곱하고 $+$부호를 붙인 것이다. 그리고 답에서 $+12$는 $+$기호를 생략하여 $12$라고 써도 된다. 일상생활에서 과자$+2$개 먹었다고 말하지 않고 그냥 $2$개 먹었다고 표현한다. 즉 $+$는 일상생활에서 너무나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하다. 부호가 같은 곱셈으로 하나의 예를 더 보자. $$\left(-3\right)\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