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시대 남성들이 착용했던 대표적인 편복 포
1. 포(袍):
- 조선시대 남성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착용했던 겉옷
- 긴 소매와 긴 길이의 도포 형태로, 무릎이나 발목까지 내려오는 길이
- 신분에 따라 색상과 문양이 달랐음
- 관리들은 주로 청색 포를, 서민들은 백색 포를 주로 착용
- 포는 일상복으로도, 의례 및 공식 석상에서도 착용되었음
2. 도포(道袍):
- 포보다 더 긴 길이의 도포 형태
- 관리들이 공식 석상이나 의례 때 착용하는 예복
- 소매가 매우 넓고 길며, 깃과 끝동에 용, 봉황 등의 문양을 수놓아 장식
-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가 있었음

3. 학창의(鶴氅衣):
- 학자나 선비들이 즐겨 착용했던 포
- 깃과 끝동에 학 문양을 수놓아 장식
- 단아하고 고아한 이미지를 연출하여 지식인의 품격을 드러냄
- 주로 공식적인 자리나 의례 때 착용되었음
4. 단령(團領):
- 고위 관료들이 착용했던 예복
- 넓은 깃과 넓은 소매가 특징
- 깃과 끝동에 용 문양을 수놓아 장식
- 최고 지위의 관리들이 착용하여 권위와 위엄을 상징
이처럼 조선시대 남자들은 자신의 신분과 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편복 포를 착용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위계질서를 시각적으로 드러냈습니다. 포, 도포, 학창의, 단령 등의 편복 포는 당시 사회 구조와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복식 문화였습니다.
반응형
'인문. 사회.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로 끝나는말은? (26) | 2024.06.21 |
---|---|
여자 저고리의 변화 양상 (27) | 2024.06.20 |
드라이커스의 논리 (22) | 2024.06.18 |
24~36개월 영아를 위한 적합한 놀잇감과 제시방법 (18) | 2024.06.17 |
장애인종합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22) | 2024.06.16 |